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Pulsatilla koreana 분류 미나리아재비과 분포지역 한국, 중국 북동부, 우수리강, 헤이룽강 자생지 산과 들판의 양지 크기 꽃자루 길이 30∼40cm 꽃은 4월에 피고 꽃줄기 끝에서 밑을 향하여 달리며 적자색이다. |
노고초(老姑草)·백두옹(白頭翁)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판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곧게 들어간 굵은 뿌리 머리에서 잎이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퍼진다. 잎은 잎자루가 길고 5개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길이 3∼4cm이며 3개로 깊게 갈라지고 꼭대기의 갈래조각은 나비 6∼8mm로 끝이 둔하다. 전체에 흰 털이 빽빽이 나서 흰빛이 돌지만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다.
꽃은 4월에 피고 꽃자루 끝에서 밑을 향하여 달리며 붉은빛을 띤 자주색이다. 꽃자루는 길이 30∼40cm이고 작은포는 꽃대 밑에 달려서 3∼4개로 갈라지고 꽃자루와 더불어 흰 털이 빽빽이 난다. 화피갈래조각은 6개이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5mm, 나비 12mm이고 겉에 털이 있으나 안쪽에는 없다. 열매는 수과로서 긴 달걀 모양이며 끝에 4cm 내외의 암술대가 남아 있다.
흰 털로 덮인 열매의 덩어리가 할머니의 하얀 머리카락같이 보이기 때문에 할미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유독식물이지만 뿌리를 해열·수렴·소염·살균 등에 약용하거나 이질 등의 지사제로 사용하고 민간에서는 학질과 신경통에 쓴다. 전설에 의하면 손녀의 집을 눈앞에 두고 쓰러져 죽은 할머니의 넋이 산골짜기에 핀 꽃이라 한다. 한국, 중국 북동부, 우수리강, 헤이룽강에 분포한다.
* 할미꽃 이야기
할미꽃에는 한가지의 전설이 내려오는데 다음과 같다
어느곳에 할머니가 두 손녀를 대리고 살고잇었는데 얼굴만 예쁘지 심술이
무척많은 큰 손녀와 얼굴은 별로지만 마음씨가 고은 작은 손녀와 함께 살고있었다 그후 두 손녀가 시집을 갔는데 큰손녀는 이웃의 부잣집으로 시집을
갔고 작은 손녀는 가난한 산지기에게 시집을 갔다
할머니는 노쇠하여 움직이기 힘이들므로 부잣집으로 시집간 큰손녀에게 잠시같이 상게 되었는데 너무 구박이 심하고 멸시를 하여서 더 있지를 못하고 작은손녀를 찾아가다가 길에 쓰러져 죽고 말았다
이때 할머니의 안부가 걱정이 되어서 할머니를 모시러 오든 작은 손녀는 할머니의 주검을 발견하고
슬피 울면서 양지 바른 야산에 정성을 다하여 묻었다고 하는데 이듬에 할머니의 무덤에는 잔뜩 허리를 구부린 꽃이 백발으라고서 아름답게 피어났다
할머니의 무덤에 할머니처럼 하얀 백발을 하고 잔뜩 구부리고 피어난 이꽃을 사람들은 이때부터 할미꽃이라 불렀다고 한다
'▒포토스토리▒ > 포토스토리...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사화 (0) | 2006.03.23 |
---|---|
카랑코에 (0) | 2006.03.18 |
호접란("팔레노프시스") (0) | 2005.12.08 |
[스크랩] 우리도 커플 (0) | 2005.12.07 |
[스크랩] 12월에 핀 들꽃 이야기 (0) | 2005.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