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안에서♡/말씀...오늘의 묵상

우리의 마음을 다스리기 위하여!

아름다운친구 2007. 5. 19. 05:12

2007년 5월 19일 토요일
우리의 마음을 다스리기 위하여!


“이는 너희 믿음의 시련이 인내를 만들어 내는 줄 너희가 앎이라. 인내를 온전히 이루라. 이는 너희로 온전하고 구비하여 조금도 부족함이 없게 하려 함이라.” (야고보서 1:3-4)

  감정을 제대로 조종할 필요성을 누구나 느낍니다. 화를 참지 못해서 낭패 본 경험 없는 사람은 없지 않습니까? 그것을 알지만 실천이 어렵습니다. 화를 내는 그 때, 인내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것이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화를 낼 때 얼마나 빨리 반응하는지 모릅니다. 0.5초밖에 안 걸리는 듯합니다. 그런데 그 순간을 그렇게 자꾸 방치해놓으면 큰일이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 마음을 다스려야 합니다. 자기의 마음을 다스리는 사람은 성(城)을 점령한 사람보다 낫다고 합니다(잠 16:32). 어떻게 하면 마음을 다스릴 수 있습니까? 동방예의지국에서 자란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화를 잘 내지 않는 것이 훈련되어 있고 그래서 화병도 심각한 문제입니다. 미국 정신의학회에 ‘hwa-byung’이 등재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결국 우리 마음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용서하는 마음이 필요합니다. 화를 나게 하는 상대방을 그저 한방에 없애버리고 싶지만, 조금 여유를 가지고 생각해서 용서라는 미덕을 발휘해 보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우리 크리스천의 특권입니다.

  미국 대통령 링컨에게는 에드윈 스탠튼이라는 정적이 있었습니다. 무슨 정책을 내놓기만 하면 시비를 걸고 저질 광대라고 공격을 했습니다. 심지어 그는 링컨을 미련한 고릴라로 비유하기까지 했습니다. 하지만 링컨은 대응하지 않았습니다. 왜 화가 나지 않았겠습니까? 그러나 좀 참았습니다. 그리고 에드윈 스탠튼의 능력을 봤습니다. 남북전쟁 때는 자기를 그렇게 비난한 스탠튼을 국방장관에 기용해 전쟁을 승리로 이끌기도 했습니다. 링컨은 그를 용서한 것입니다. 그로부터 얼마 후 링컨이 괴한의 총에 맞아 쓰러졌습니다. 그 때 스탠튼이 가장 먼저 찾아갔고 링컨의 최후를 지켰다고 합니다. 링컨이 죽자 “여기 이 세계 역사 위에 가장 위대한 정치가가 누워 있다.”고 말했습니다. 결국 용서가 가능하게 한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가 인내를 온전히 이루라고 말하는 것은 바로 용서의 한 방법인 것입니다.


함께 일하다 보면 미운 사람, 꼴도 보기 싫은 사람이 있습니다. 그 사람을 진정으로 용서할 수 있는 마음을 제게 주시옵소서. 주님의 십자가를 통해 용서하게 하옵소서.
By 원용일 목사

2007년 5월 19일
약자가 살기 힘든 사회


“가라사대 어떤 도시에 하나님을 두려워 아니하고 사람을 무시하는 한 재판관이 있는데”    눅 18:2

 

성경을 읽을 때 명심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들려주기를 원하시는 것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성경 전체를 읽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성경 66권을 전부 읽어야 ‘성경 이해’라는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마치 미국에서 66번 주간(州間) 고속도로를 타고 원하는 목적지에 이르듯이 말입니다!

  예수님을 따르던 사람들은 누가복음 18장의 이 이야기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알았을 것입니다. 재판관이라는 것이 하나님을 대신하여 법을 집행하는 사람이므로 100퍼센트 정직하고 공정해야 한다는 것쯤은 그들도 알고 있었을 것입니다. 사람들을 보살피고 돕는 것이 재판관의 본분입니다. 특히 의지할 데 없는 약자들과 소외된 사람들이 공정한 대우를 받도록 돌보아야 했습니다. 어떤 경우에도 그는 뇌물을 받거나 부패해서는 안 되었습니다(대하 19:4-6). 재판관이 하나님을 공경하지 않거나 사람들의 의견을 무시하는 것은 큰 재앙의 전조였습니다. 그러나 실제 상황은 달랐습니다. 뇌물이 수수되었고, 부패가 제거되지 않았습니다.

오늘날, 많은 나라들에서 사람들을 보호하고 돌보아야 할 권력이나 힘을 가진 사람들이 오히려 신뢰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뇌물 수수가 만연되어 있습니다. 그 결과, 힘  없는 사람들은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합니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가 해야 할 일들 중 하나는 자신을 위하여 싸울 힘이 없는 사람들을 위하여 싸워주는 것입니다. 이 싸움에서 당신은 어떻게 당신의 의무를 감당하려고 합니까?

임마누엘
주제어 : 사랑,지키심
2006-05-19

 

 

 

하나님은 나만 보신다.

 

애틋하게...

 

사랑 가득히...

 

그렇다면...

 

나는, 하나님만 바라보는가?

 

오히려

 

돈, 명예, 쾌락을 바라보는 건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