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스토리▒/포토스토리...식물

금관화(신종 유도화) & 협죽도(유도화)

아름다운친구 2006. 6. 20. 22:26

금관화-(Asclepias.Asclepias curassavica)

 

쌍떡잎식물 용담목 박주가리과의 한 속.
학명 Asclepias
분류 박주가리과
원산지 북아메리카
분포지역 아메리카와 아프리카
크기 높이 약 1m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 약 1m이다. 줄기에는 털이 나고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온다. 대체로 잎은 마주나고 버들잎처럼 생긴 긴 타원형이다. 꽃은 작고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화관은 5개로 깊게 갈라져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5개이고 열매는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모양이며 종자에 털이 난다. 추위에 약하므로 겨울에는 보온을 잘 해주어야 한다.

열대아메리카 원산인 블러드플라워(blood flower:A. curassavica)는 관상용으로 심는데, 붉은빛을 띤 자주색 화관에 주황빛이 돌며 4∼9월에 꽃이 핀다. 미국 남부 원산인 버터플라이위드(butterfly weed:A. tuberosa)는 잎이 버들잎같이 생기고 알뿌리이며, 꽃은 오렌지색으로서 6∼9월에 핀다. 아메리카와아프리카에서 100여 종이 자라고, 그중 몇 종을 관상용으로 심는다.

 

금관화는 사람들사이에 유도화랑 닮아 신종유도화로 많이 불리워지고 있고

잎은 길쭉하게 버들잎같이 생겼으나 (잎때문에 유도화랑 닮았다한다)

꽃은 작은 크기에 비해 무척화려하다..

금관화꽃은 빨간 몽우리에서 피는데도 한참 걸리고

그 꽃이 다피고질때까지도 무척오래걸린다.

원래 개화기는 4월에서9월..지금이한창이다..

잎은 녹색인데 햇빛을 보면 조금 붉은빛을 띤다.

물은 여름엔 아침 저녁으로 주고 (물이 없으면 잎이 축 쳐진다)

봄가을엔 흙이 마르면 한번씩..겨울엔 실내에서 월동이 가능하다..

꽃이 지고 나면 길쭉하게 씨주머니가 생기고 그안에 솜털이 달린 씨앗이 가득하다.

이걸로 번식을한다. 키우기도 쉽고 꽃도 오래가구 가까이다가서면 좀 매콤한향기가 난다.

 

 

 협죽도 []

 

협죽도과의 상록관목.
학명 Nerium indicum
분류 협죽도과의 상록관목
서식장소 햇볕이 잘 쬐고 습기가 많은 사질토
크기 높이 2m 이상

 

 

 

 

 

햇볕이 잘 쬐고 습기가 많은 사질토에서 잘 자라지만 아무데서나 자라며 공해에 대해서도 매우 강하다. 높이 2m 이상 자라고 밑에서 가지가 총생하여 포기로 되며 수피는 검은 갈색이고 밋밋하다. 잎은 3개씩 돌려나고 선상 피침형이며 가장가리가 밋밋하다. 질이 두껍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양면에 털이 없다. 꽃은 7∼8월에 피지만 가을까지 계속되고 홍색·백색·자홍색 및 황백색이 있고 겹꽃도 있다.

 

화관은 지름 3∼4cm로서 밑은 긴 통으로 되고 윗부분은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진다. 갈래조각은 꼬이면서 한쪽이 겹쳐진다. 화관의 통부와 갈래조각 사이에 실 같은 부속물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5개의 수술은 화관통에 붙어 있다. 꽃밥 끝에는 털이 있는 실 같은 부속물이 있다. 열매는 골돌(蓇葖)이며 갈색으로 성숙하여 세로로 갈라진다.

 

종자는 양 끝에길이 1cm 정도의 털이 있다. 가지·잎·꽃을 강심제이뇨제로 사용한다. 번식은 포기나누기꺾꽂이로 한다. 한국을 비롯하여 인도와 페르시아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 꽃이 여러 겹인 것을 만첩협죽도(for. plenum), 꽃이 연한 황색인 것을 노랑협죽도(for. lutescens), 꽃이 백색인 것을 흰협죽도(for. leucanthum)라고 한다.

 

동식물 > 식물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 > 용담목
의학 > 약학 > 의약품 > 유기약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