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0년된 국보 1호 5시간만에 잿더미로
2008년 2월 17일 |
![]() 남산 쪽 기슭에서 내려다보는 장면이라 왼쪽이 성문 바깥, 오른쪽이 도성 안쪽이다. 문화재청은 불탄 숭례문을 복원하면서 그림 속에 보이는 성벽 일부를 되살리겠다고 밝혔다. ▒▒☞[출처]중앙일보 |
![]() |
![]() ![]() ![]() |
![]() ![]() ![]() |
죽어서도 천년 금강松의 기개여! 숭례문 다시 세워라 ![]() ![]() ![]() ![]() ▒▒☞[출처]문화일보 |
![]() |
![]() ![]() ![]() |
2008년 2월 15일 |
![]() ![]() ![]() ![]() |
|
![]() ![]() ![]() |
2008년 2월 14일 |
|
![]() ![]() |
한편, 서울 중구청은 소실된 숭례문 주변 가림막 일부를 투명 강화 플라스틱 패널로 교체해 붕괴 잔해와 복원 현장을 볼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서울=뉴시스】 ▒▒☞[출처]중앙일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8년 2월 13일 |
![]() ![]() |
![]() |
![]() |
![]() |
![]() |
|
|
![]() |
2008년 2월 12일 |
![]() |
![]() |
![]() |
![]() ![]() |
![]() |
![]() |
![]() |
![]() |
한국인의 자존심은 추락하고 대한민국에는 불명예를 안겨준 이번 화재는 교민들에게도 큰 충격을 주었다. 【뉴욕=뉴시스】 ▒▒☞[출처]중앙일보 |
|
![]() |
![]() |
![]() ![]() |
![]() |
![]() |
![]() ▒▒☞[출처]동아일보 |
![]() |
![]() |
![]() |
![]() |
![]() |
![]() |
|
2008년 2월 11일 |
![]() ★...서울에 있는 목조 건축물 중 가장 오래 됐다. 조선 왕조가 한양으로 수도를 옮긴 뒤 1395년(태조 4년) 남산의 성곽과 만나는 곳에 짓기 시작해 1398년에 완성됐다. 600 년 동안 수 많은 수난을 겪으면서 수 차례 보수 작업을 거쳤지만, 그 모습만은 굳건히 지키며 서울의 상징이자 대한 민국의 자존심으로 불렸다. 한양 도성의 8 문 중 가장 중요한 정문이며,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1447년(세종 29년)에 고쳐 지은 것이다. 도성 남쪽에 있어 흔히 '남대문'으로 불렸으며, 현존하는 한국 성문으로선 규모가 가장 크다. 현판 글씨는 태종의 큰 아들인 양녕 대군이 불 모양의 관악산이 뿜어내는 화기(火氣)를 막기 위해 썼다고 이수광의 '지봉유설'에 전해진다. 1962년 12월 국보 제1호로 지정됐으며, 2005년 5월 주변에 광장이 갖춰졌다. 2006년 3월 100 년 만에 홍예문이 일반에 개방됐다 |
![]() |
![]() |
![]() |
![]() |
![]() |
![]() ![]() |
![]() ![]() ![]() |
문화재청 "200억 원 투입 3년 내 원형 복원" 지름 1m 기둥용 국내산 소나무 확보가 열쇠 ![]() 불의의 화재로 10일 밤 1, 2 층 누각이 완전 소실(燒失)된 대한 민국 국보 1호 숭례문(서울 중구 남대문로 4가)이 어떻게 복원할 것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화재청 이성원 차장은 11일 오전 화재 현장을 찾아 ‘숭례문 복구 기본 방침’을 발표하고, “원형대로 복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차장은 이 날 “정확한 피해 상황은 파악해 봐야겠지만 원형을 복원하는 데 2~3 년, 예산은 200억 원 정도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한국일보 |
![]() |
|
![]() ▒▒☞[출처]동아일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출처]도깨비뉴스 |
![]() |
![]() 1910년 무렵 촬영된 남대문(南大門. 숭례문). 이미 양쪽 성벽은 헐려져 도로가 나 있다. 사진 출처는 '한국병합' 관련한 1910년대 일본측 사진자료집인 '일본의 조선'(日本之朝鮮. 有樂社. 도쿄). 사진 타이틀은 '경성 남대문'이며 그 설명은 "원래 양쪽에 성벽이 있고 중앙의 굴로 왕래했던 것으로 동물의 분뇨가 길에 넘쳐나 발을 디딜 곳이 없었으나 지금은 성벽을 허물고 따로 도로를 내서 이와 같이 멋지게 보존하고 있다"라고 했다 ▒▒☞[출처]충청일보 |
![]() |
출처 : 커피향기 영상천국
글쓴이 : 하늘위로 원글보기
메모 :
'▒포토스토리▒ > 포토스토리...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의 파라다이스 거제도 외도...! (0) | 2008.06.11 |
---|---|
움직이는 동양화 - 인터넷에 들어온 봄바람 (0) | 2008.03.27 |
[스크랩] 졸업식이 있는 풍경 (0) | 2008.01.27 |
안성 아트센터 마노 (0) | 2008.01.22 |
[스크랩] 포토뉴스로 보는 한국의 사계 ① 겨울(冬) (0) | 2007.12.09 |